2020 제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

20문제가 검색되었습니다.

  • 1

    물리적인 사물과 컴퓨터에 동일하게 표현되는 가상의 모델로 실제 물리적인 자산 대신 소프트웨어로 가상화함으로써 실제 자산의 특성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, 자산 최적화, 돌발사고 최소화, 생산성 증가 등 설계부터 제조, 서비스에 이르는 모든 과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델은?

     

    해설
    디지털 트윈(digital twin) : 미국 GE가 주창한 개념으로, 컴퓨터에 현실 속 사물의 쌍둥이를 가상화하여 만들고, 현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컴퓨터로 시뮬레이션함으로써 결과를 미리 예측하는 기술
  • 2

    정보보안의 3대 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

     

    해설
    정보보안 3대 요소 : 기밀성, 무결성, 가용성
  • 3

    다음 빈칸에 알맞은 기술은?

    ( )은/는 웹에서 제공하는 정보 및 서비스를 이용하여 새로운 소프트웨어나 서비스, 데이터베이스 등을 만드는 기술이다.

     

    해설
    Mashup : 웹에서 제공하는 정보 및 서비스를 이용하여 새로운 소프트웨어나 서비스, 데이터베이스 등을 만드는 기술
  • 4

    기능점수(Functional Point)모형에서 비용산정에 이용되는 요소가 아닌 것은?

     

    해설
    FP 기능별 가중치 산정요소 : 자료 입력(입력 양식), 정보 출력(출력 보고서), 명령어(사용자 질의수), 데이터 파일, 필요한 외부 루틴과의 인터페이스
  • 5

    블록 암호화 방식이 아닌 것은?

     

    해설
    블록 암호화 방식: DES, RC5, AES, SEED, IDEA
  • 6

    Putnam 모형을 기초로 해서 만든 자동화 추정 도구는?

     

    해설
    SLIM : Putnam 기법 모형을 기초로 개발된 자동화 추정 도구
  • 7

    큰 숫자를 소인수 분해하기 어렵다는 기반 하에 1978년 MIT에 의해 제안된 공개키 암호화 알고리즘은?

     

    해설
    RSA : 큰 숫자를 소인수 분해하기 어렵다는 기반 하에 1978년 MIT에 의해 제안된 공개키 암호화 알고리즘
  • 8

    COCOMO 모델의 프로젝트 유형으로 거리가 먼 것은?

     

    해설
    cocomo 유형 : 조직형 / 반분리형 / 내장형
  • 9

    빅데이터 분석 기술 중 대량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데이터 속에 내재되어 있는 변수 사이의 상호관례를 규명하여 일정한 패턴을 찾아내는 기법은?

     

    해설
    데이터마이닝 : 빅데이터 분석 기술 중 대량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데이터 속에 내재되어 있는 변수 사이의 상호관례를 규명하여 일정한 패턴을 찾아내는 기법
  • 10

    기존 무선 랜의 한계 극복을 위해 등장하였으며, 대규모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생성에 최적화되어 차세대 이동통신, 홈네트워킹, 공공 안전 등의 특수목적을 위한 새로운 방식의 네트워크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?

     

    해설
    Mesh Network : 기존 무선 랜의 한계 극복을 위해 등장하였으며, 대규모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생성에 최적화되어 차세대 이동통신, 홈네트워킹, 공공 안전 등의 특수목적을 위한 새로운 방식의 네트워크 기술을 의미
  •  
  • 1
  • 2
  •